현상 우분투에서 화면 왼쪽이나 아래에 놓고 많이 쓰는 프로그램 아이콘들을 두고 사용하는 독(dock)이 얼마전부터 사라져서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세팅을 GUI로 바꾸고 싶을 때 불편함이 많았다. 물론 리부팅을 하면 현상이 사라지는데 뭔가 제대로된 방법은 아닌 것 같다 첫번째 시도: dock 세팅 메뉴 시도 하기 당연히 세팅(settings) 패널에서 Dock 메뉴를 찾아보았다. (나는 Command 버튼을 누르고 텍스트 입력으로 'dock'을 입력하고 엔터키를 눌러 다음과 같은 Dock관련 패널을 찾아 보았다. 메뉴에는 사라진 dock을 살리는 메뉴는 없었다. 자동으로 dock이 사라졌다가 마우스를 근처로 대면 나타나는 기능이나 위치, 아이콘 크기를 조절하는 메뉴가 있을 뿐이었다. 해결책: gnome s..
우분투 머신 고정 IP로 바꾸기 우분투 머신에서 IP주소를 세팅하는 방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편집하고 다시 네트워킹 서비스를 재시작 시키면 된다. 다음과 같이 편집기(vi는 한 예)에서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연다. $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다음과 같이 원하는 주소를 작성한다. 예제의 enp3s0는 컴퓨터마다 다르니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바꾸고 싶은 인터페이스 이름을 알아내야 한다. (보통 eth0같은 것으로 되어 있었는데 컴퓨터 마다 다르다는 걸 이제야 알았다.) auto enp3s0 iface enp3s0 inet static address xxx.xxx.xxx.xxx netmastk xxx.xxx..
기본적으로 원겹접속하는데 ssh가 가장 대표적인데 보통 우분투에 ssh클라이언트는 설치되어 다른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별도의 설치 과정이 필요없이 사용해왔다. 그런데 자신의 머신이나 별도의 서버를 구축할 때는 ssh 서버가 필요하다. 설치명령 설치 명령은 다음과 같다. $ sudo apt-get install openssh-server 설치여부 확인 설치여부는 다음과 같이 dpkg와 grep명령을 조합해 설치되 패키지 리스트에 openssh-server, openssh-sftp-server 가 같이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dpkg -l | grep openssh ssh 서버 실행 실행은 service 명령을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실행한다. $ sudo service ssh start 이 명령 ..
우분투 터미널 환경에서 컴퓨터(서버) 자체의 하드웨어 사양을 알고 싶을 때 필요한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하드디스크 사이즈 하드 디스크나 공유 디스크 처럼 연결(마운트)된 저장공간을 아무래도 많이 찾게 된다. 남는 용량등을 확인하는데 가장 많이 쓴다. (몇개 안되는 외우는 명령어) df -h 램용량 확인 램용량은 다음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 free -h CPU 코어수 CPU 코어는 다음과 같이 nproc으로 간단히 확인이 가능하다. nproc CPU 사양 cat /proc/cpuinfo 그래픽 카드 명령어 lspci 결과 중 그래픽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것을 걸러내면 알아낼 수 있다. lspci | grep -i VGA 우분투 명령어는 아니지만 그래픽 카드가 nvidia 카드인경우 드라이버 설치 후 n..
동기 docker로 파이썬 환경을 구축해두고 컨테이너를 실행 시키고 나서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해 편집한 코드를 공유한 폴더에 저장하고 이를 도커에서 실행시키고 싶었다. 터미널에서 Visual Studio Code 실행하기 아주 간단하다. code를 치면 된다. 물론 visual studio code를 설치했다는 가정하에 동작한다. $ code 문제는 도커와 공유된 폴더 속 코드를 수정하고 나서 save를 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뜬다. Retry as Sudo... 버튼을 선택하면 다음과 같이 계정 암호를 묻는 창이 뜨게 된다. 물론 암호를 입력하면 저장하면 되지만 매번 암호를 입력하다니 그건 좀 아닌 것 같다. 물론 파일 속성을 바꾸는 방법도 가능할 것 같은데 그냥 ..
그래픽 카드사양은 GTX 1060이고 우분투 18.04LTS 버전에 nvidia driver를 설치하였다. 이글은 아래 링크의 글과 거의 동일하고 GTX1060에서 겪은 약간의 경험기를 추가한 글이다. 우분투 18.04 / GTX1060에 NVidia드라이버 설치하기 핵심은 GTX 1060 + Ubuntu 18.04는 드라이버 버전에 따라 에러가 발생하는데 415버전의 드라이러를 설치하면 별도의 문제 없이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맞는 버전을 찾기 nvidia 홈페이지에서 드라이버 번호 찾기(하드웨어에 맞게) https://www.nvidia.com/Download/Find.aspx?lang=en-us 설치가능한 버전을 확인해 볼 수 있다. 390, 410, 415, 418 버전이 눈에 보인다. 저장소 연결..
- Total
- Today
- Yesterday
- 메이커
- nodejs
- Stable Diffusion
- opencv
- conda
- WSL
- 한글
- Fusion360
- Arduino
- 우분투
- git
- 파이썬
- MicroBit
- ssh
- docker
- nvidia
- Maker
- vscode
- Linux
- vvvv
- cura
- Python
- tensorflow
- 3d프린터
- comfyUI
- ubuntu
- Streamlit
- fablab
- 단축키
- CA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