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우분투 머신 고정 IP로 바꾸기
우분투 머신에서 IP주소를 세팅하는 방법은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편집하고
다시 네트워킹 서비스를 재시작 시키면 된다.
다음과 같이 편집기(vi는 한 예)에서 /etc/network/interfaces 파일을 연다.
$ sudo vi /etc/network/interfaces
다음과 같이 원하는 주소를 작성한다.
예제의 enp3s0는 컴퓨터마다 다르니 ifconfig 명령어를 통해 바꾸고 싶은 인터페이스 이름을 알아내야 한다.
(보통 eth0같은 것으로 되어 있었는데 컴퓨터 마다 다르다는 걸 이제야 알았다.)
auto enp3s0
iface enp3s0 inet static
address xxx.xxx.xxx.xxx
netmastk xxx.xxx.xxx.xxx
gateway xxx.xxx.xxx.xxx
dns-nameserver xxx.xxx.xxx.xxx
다음 명령으로 interface를 내렸다가 올려서 확실히 해당 interface가 변경되도록 한다.
$sudo ifdown enp3s0
$sudo ifup enp3s0
다음 명령이 네트워킹 서비스를 재시작하는 명령어이다. 재부팅하지 않고도 IP주소를 바꿀 수 있다.
$ systemctl restart networking.service
문제: IP가 변경이 안되는 문제
문제는 다음과 같이 네트워킹 서비스를 재시작해도 재부팅을 해도 변경이 안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 systemctl restart networking.service
이때 시도해 볼만한 방법으로 다음 명령(ip addr flush 해당인터페이스)을 수행해야 제대로 바뀐다.
결국 아래 명령을 빼고 시행하면 주소가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서 변경이 안되는 것 같다.
$ sudo ip addr flush enp3s0
$ systemctl restart networking.service
다음 명령이 꼭 기억해야 할 명령이다.
$ sudo ip addr flush [network interface name]
728x90
반응형
'Programming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ubuntu)에서 사라진 dock 살리기 (0) | 2020.10.27 |
---|---|
녹색바탕 검은글씨 폴더 바꾸기 (0) | 2020.04.03 |
.gitignore 변경이 적용 안될 때 (0) | 2020.03.12 |
빈 폴더를 git 프로젝트에 포함시키기 (0) | 2020.03.12 |
개발 중인 코드 git에 연결해 올리기 (0) | 2020.03.12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vscode
- vvvv
- nvidia
- Maker
- MicroBit
- 한글
- 우분투
- git
- nodejs
- Arduino
- conda
- docker
- opencv
- tensorflow
- WSL
- Stable Diffusion
- ubuntu
- 메이커
- fablab
- 단축키
- 3d프린터
- Python
- comfyUI
- Fusion360
- ssh
- 파이썬
- Streamlit
- CAD
- Linux
- cura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