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처음 우분투를 설치하고 나서 한글입력기 세팅을 해보았다.
많은 글들이 있어서 도움받을 수 있었다.
우분투 18.04에서 기본적이으로 iBus-hangul이라는 입력기를 사용하는 것 같다.
Language Support
설정 프로그램(좌측 하단 Show Applications 버튼 눌러 찾아보면 된다) 중 Language Support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Install/Remove Languages 버튼을 눌러 한국어(Korean)을 찾아 설치한다.
다른 탭인 Regional Formats을 선택하고 전체 우분투의 언어를 한국어로 바꿀수도 있다. 개인적으로 폴더이름이 바뀌거나 하는 상황이 싫어 그냥 기본 세팅인 영어로 두는 것을 선호하므로 그냥 패스하였다.
Settings > Region & Language
설정(settings) 프로그램을 다시 실행시킨 후 Region & Language 메뉴탭을 선택한다. 다음 그림처럼 입력소스(Input Source)를 기존의 영어로 되어 있던 것을 지우고 한글바꾼다.
설정버튼을 누르면 IBusHangul 설정창을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IBus Hangul Settings
영문과 한글 키보드 변환이 기본적으로 Shit + Space로 지정되어 있는데 여기에 Add 버튼을 누르고 한/영 키를 입력하면 다음그림과 같이 Shift + Space와 한/영 키를 이용하여 키보드 자판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우분투 상단 우측에서도 다음그림과 같이 'EN' 또는 '한'으로 키보드 상태를 알수 있고 클릭해보면 setup 버튼을 이용하여 방금 앞에서 설정한 내용을 바꾸거나 볼 수 있다.
'Programming > ubuntu'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분투 18.04 / GTX1060에 NVidia드라이버 설치하기 (1) | 2019.04.15 |
---|---|
grub 듀얼 부팅 순서 바꾸기 (0) | 2019.04.14 |
우분투 18.04 / GTX1080 nvidia driver 설치하기 (0) | 2019.04.12 |
sftp로 리모트서버에서 로컬머신으로 파일들 다운 받기 (0) | 2019.04.12 |
sudo user 추가하기 (0) | 2019.04.12 |
- Total
- Today
- Yesterday
- Python
- MicroBit
- git
- 우분투
- Arduino
- nodejs
- 단축키
- docker
- vscode
- 메이커
- 3d프린터
- 파이썬
- Fusion360
- ubuntu
- Maker
- cura
- 한글
- Stable Diffusion
- tensorflow
- ssh
- nvidia
- comfyUI
- Streamlit
- opencv
- Linux
- vvvv
- conda
- fablab
- WSL
- CA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