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본 체험 제품은 element14 의 후원을 받아 아이씨뱅큐㈜ 에서 진행하는 

무상 체험단 활동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마이크로 비트 공식 가이드를 따라해 보았습니다.

 

 

 

개발을 위해 내용을 간략히 요약해 보았습니다.

 

  1. USB케이블로 마이크로비트를 연결하기
  2. 브라우저로 개발 툴 열기
  3. 블록프로그래밍 또는 자바스크립트로 개발 가능
  4. 코딩 한다.
  5. 파일이름을 지정한다. 
  6. 저장버튼을 누르거나 다운로드 버튼 눌러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7.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복사하여 마이크로 비트 드라이브로 붙여넣기한다.

 

LED를 켜보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기로 하였습니다.

 

먼저 다음과 같이 USB케이블을 이용해 컴퓨터에 연결하였습니다. 기본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제 마이크로 비트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 브라우저에 다음 URL을 접근하였습니다.

 

https://makecode.microbit.org/#

 

 

블록코딩 방식으로 코드를 만들 수 있게 되어 있네요.

영어로 되어 있고 영어가 편하신 분들 코딩을 영어로 많이 해보신 분들은 영어로 만들어도 될 듯 합니다.

언어는 상단 우측에 마이크로소프트 로고 바로 왼편 설정 메뉴에서 바꿀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저는 일단 한국어를 선택하였습니다.

 

 

 

다음과 같이 한글로 바꾸었습니다.

 

 

 

맨 왼편에는 마이크로비트 보드 시뮬레이터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마이크로 비트 하드웨어 없이 마이크로 비트에 어떤일이 일어나는지

코딩을 하면서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바로 옆 열에는 블럭 리스트가 있습니다.

기능별로 카테고리가 정해져 있어서 선택하면 세부 블럭 리스트가 보입니다.

그리고 오른편에는 블럭 코딩할 수 있는 화면이 보입니다.

 

간단하게 제 맘대로 이것저것 블럭을 추가해 보았습니다.

 

 

기본 카테고리에 있는 몇가지를 다음과 같이 '무한 반복 실행' 블럭 안에 차례로 쌓아 보았습니다.

벌써 시뮬레이터에 블럭을 하나씩 추가할 때 마다 어떻게 실행할지 보여집니다.

차례로 제가 임의로 만든 십자가모양 LED가 켜지고 다음은 지정한 하트 아이콘이 켜지고 다음은 문자열

HELLO가 왼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보여지는 결과를 시뮬레이터에서 확인하였습니다.

 

이제 이 코드를 실제 연결해놓은 보드로 옮겨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부분은 조금은 무식(?)해 보이지만 너무나 직관적인 방식입니다.

일단 웹상에서 개발한 블럭코드를 다운로드 받습니다.

 

먼저 하단에 프로젝트이름을 다음과 같이 적었습니다.

 

아마도 이 과정은 보통 처음에 해야 하는데 다운로드 할 때야 생각이 났습니다.

프로젝트 이름을 지정한 뒤에 브라우저(웹상)에서 개발한 코드를 다운로드 하면 됩니다.

다운로드 버튼을 누르면 웹브라우저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방식과 같이

 

파일이 다운로드 됩니다. 곧바로 마이크로 비트에 적용가능한 포맷인 것 같네요.

 

다음과 같이 microbit-LEDTest.hex라는 파일이 다운로드 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파일을 연결되어 있는 마이크로비트로 복사해서 붙여넣거나 드래그&드롭하면 됩니다.

 

 

 

복사가 완료되면 알아서 마이크로 비트가 동작을 하네요.

제가 코딩한데로 세가지 LED패턴이 계속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과 같이 동작합니다.

 

 

 

이제 센서를 이용하여 조금 더 복잡한 단계를 개발해 보았습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해보았습니다.

기존의 프로젝트가 아닌 새로운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방법은

상단 메뉴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프로젝트 찾아보기' 메뉴를 찾아 클릭합니다.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창이 뜨는데요.

 

 

'새 프로젝트'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프로젝트가 시작됩니다.

이미 만들어본 프로젝트들 중에서 선택해서 시작할 수도 있겠네요.

 

프로젝트 이름은 ACCELTest로 지었습니다.

다음과 같이 블럭코딩을 했습니다.

 

 

 

움직임 감지 블럭은 가속도 센서로 '흘들었을 때'와 LED스크린을 위로 보이도록 움직였을때를

인식해서 그때마다 다른 문자열을 출력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버튼 A (왼쪽 버튼)과 버튼 B(오른쪽 버튼)을 눌렀을 때에도 다른 아이콘을 출력하도록

바꾸어 보았습니다.

 

다시 다운로드하고 해당파일 microbit-ACCELTest.hex를 드래그&드롭하여

MICROBIT 하드웨어로 복사하면 됩니다.

 

마이크로 비트에 코드가 업로드 완료되면 버튼을 누르거나 흔들어 보거나 앞뒤로 뒤집어 보면

다른 LED패턴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제가 테스트 해본 영상 입니다.

 

 

 

참고로 블록코딩은 대응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다음과 같이 곧바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자바스크립트가 편한 사람은 이 스크립트를 적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체험단 관련 정보:

마이크로비트 공식 구입처 : 아이씨뱅큐 http://www.icbanq.com/엘리먼트14의 특장점 - 글로벌 전자부품 유통회사, 6만원 이상 무료배송, 60만가지 재고 보유, MOQ 없음, 한글 웹사이트, 국내서비스센터 운영 (http://kr.element14.com/?CMP=DSP-ODB-KR-JAN2018-BLOG-ICBanQ1-HOMEPAGE)마이크로비트 공식 카페 : http://cafe.naver.com/bbcmicro아이씨뱅큐 공식 블로그 : http://blog.naver.com/icbanq

728x90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