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서버(원격)에서 학습 중인 결과를 로컬(내 노트북)에서 보고 싶을 때
1. 텐서 보드 실행
tensorboard --logdir=__dir__ --port=xxxx
- 포트 번호는 6006이 기본인데 여러 개를 돌리는 경우 6007, 6008겹치지 않게 지정한다.
- 학습을 실행하는 컴퓨터와 텐서보드를 실행하려는 브라우저가 동일한 시스템인 경우는 이후 브라우저에서 localhost:xxxx (예를들어, localhost:6006)를 입력하면 텐서보드를 볼 수 있다.
2. ssh로 로컬에서 특정 포트 번호로 연결(터널링)하기
ssh -L aaaa:localhost:xxxx __user__@xxx.xxx.xxx.xxx
- 로컬 컴퓨터 터미널에서 ssh 명령어 중 L옵션으로 로컬의 특정 포트를 원격 서버의 특정 포트에 연결시켜 접속할 수 있다.
- tensorboard 실행시 사용했던 포트가 6006 이고 내가 로컬에서 쓰고 싶은 포트가 8879이면 다음과 같이 ssh 명령어를 입력한다.
ssh -L 8879:localhost:6006 hello@100.100.0.101
3. 로컬 브라우저에서 텐서보드로 모니터링 하기
마지막으로 로컬 컴퓨터의 웹브라우저(ex. 크롬) 주소 입력창에 선정한 포트 번호가 포함된 localhost:xxxx를 입력하면 텐서보드를 띄워서 볼 수 있게 된다.
728x90
반응형
'CVML > TensorFl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sue 해결중) m1 맥북프로에 텐서플로우 설치하기 (0) | 2021.03.19 |
---|---|
jupyter lab실행시 에러 해결(CUDA:0 not supported by XLA service) (0) | 2020.03.05 |
Tensorflow 버전 조합(CUDA, cuDNN, NVidia Driver) (0) | 2019.08.18 |
tensoflow eager execution mode 관련 글 링크 (0) | 2019.05.28 |
Tensorboard 사용하기(완전기초) (0) | 2019.05.13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fablab
- Python
- Streamlit
- Stable Diffusion
- 3d프린터
- cura
- Fusion360
- conda
- ssh
- MicroBit
- vvvv
- comfyUI
- CAD
- Maker
- nodejs
- Linux
- vscode
- ubuntu
- 우분투
- WSL
- opencv
- 메이커
- Arduino
- 파이썬
- git
- docker
- tensorflow
- 단축키
- nvidia
- 한글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